본문 바로가기
무협

한국 무협의 역사! 구무협VS신무협 그리고 판협지!

by 적월선 2023. 7. 22.

이번에는 한국 무협 소설에 대한 주제로 '90년대 신무협과 한국 무협 소설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한국 무협 소설은 90년대의 신무협과 2000년대 이후의 판협지의 등장으로 큰 변화를 겪었습니다.
이에 따라 무협 소설의 특징과 장르 흐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출처 <a href="https://kr.freepik.com/free-vector/hand-drawn-tai-chi-illustration_36304381.htm#query=%EB%AC%B4%ED%98%91&position=42&from_view=search&track=ais">Freepik</a>

1. 90년대 신무협과 구무협의 대립

한국 무협소설은 90년대에 새로운 스타일의 장르인 "신무협"이 등장하면서 변화의 시기를 맞이했습니다. 이전의 구무협과는 대조적으로 신무협은 노루표 무협지의 스타일을 벗어나기 위해 새로운 시도를 시도한 것이었습니다. 90년대까지 신무협은 구무협과의 대비되는 새로운 특징을 지닌 무협소설의 새로운 장르 흐름이었습니다.

2. 2000년대 이후 판협지의 등장

그러나 2000년대 이후, 한국 무협소설은 판협지라고 불리는 먼치킨 대리만족형 양산형 무협소설들의 등장으로 인해 큰 변화를 겪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판협지는 90년대 신무협의 지위를 약화시키고 한국 무협소설의 대표적인 장르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습니다.

3. 신무협의 가치와 팬들의 인식

하지만 90년대 신무협은 무와 협에 대한 고찰과 문학성, 작품성을 추구하는 시도로 인해 무협소설 독자들에게 이상적인 롤모델로 여겨졌습니다. 이러한 반응은 판협지의 스타일과 비교하여 가벼워진 측면에 대한 반감과 겹쳐지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2000년대 이후부터 무협 팬덤에서 90년대 신무협을 정통성 있는 무협소설로 여기는 풍조가 생겨났습니다.

신무협을 대표하는 작가로는 '용대운', '좌백' 등이 있습니다.

4. 정통 무협이란 개념의 형성과 웹소설의 역할

이러한 상황에서 "정통 무협"이라는 개념이 등장하였습니다. 이 개념은 기존의 무협 팬들이 판협지에 대한 반감으로 90년대의 신무협을 향수하는 대비 개념으로 부각되었습니다. 정통 무협은 무협 소설의 중심 주제와 특징을 지닌 작품들을 가리키며, 퓨전 무협이라 할지라도 무(武)로서 협을 행하거나 무와 협에 대한 고찰을 주제로 담은 작품들은 정통 무협으로 인정받기도 합니다.

5. 한국 무협 소설의 독자적인 클리셰

한국 무협 소설은 중국 무협과는 다른 독자적인 클리셰를 지니고 있습니다. 구파일방, 이십사수매화검법 등의 설정들은 한국 무협의 고유한 특징으로 간주되며, 한국 무협의 교과서적인 성격을 지닙니다. 이러한 클리셰는 한국 무협 소설의 독자적인 매력을 형성하는 요소로 작용합니다.

6. 무협 소설의 다양성과 미래 전망

한국 무협 소설은 90년대 신무협과 2000년대 이후의 판협지 등 다양한 변화를 거쳐 현재까지 이어져왔습니다. 다양한 장르와 스타일의 작품들이 창작되고 있으며, 이는 무협 소설의 다양성과 발전을 확인할 수 있는 증거입니다. 미래에도 무협 소설은 끊임없이 성장하고 발전하여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과거의 장르흐름과 현재의 다양한 작품들을 즐기며 무협 소설의 매력과 맥락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한국 무협 소설은 계속해서 무협 팬들을 매료시키는 다양한 이야기들로 가득차 있을 것입니다.